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왜 첫 월급 사용 계획이 중요한가?
“첫 월급은 그냥 기념이야!”
그렇게 쓰고 나면, 그 다음 월급도 비슷하게 흘러갑니다.
첫 월급은 단순한 소득이 아니라, ‘재정 습관’의 첫 단추입니다.
이 첫 단추가 잘 꿰어지면 이후의 경제생활도 안정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👉 첫 월급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, 1년 후의 자산 상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추천 링크
첫 월급 사용 전 체크리스트
항목 설명 체크
고정지출 파악 | 통신비, 교통비, 식비 등 | ☑️ |
부모님 용돈/선물 계획 | 사회생활의 감사 표현 | ☑️ |
저축 계좌 개설 | 적금, 청약, 비상금 통장 | ☑️ |
카드 사용 여부 결정 | 체크카드 vs 신용카드 | ☑️ |
소비 항목 예산 책정 | 항목별 한도 설정 | ☑️ |
첫 월급 분배 추천 비율
첫 월급 총액 기준 예시: 2,500,000원
항목 비율 금액 (예시) 설명
저축/투자 | 30~40% | 750,000원~1,000,000원 | 적금, 청약, ETF, CMA 등 |
부모님 용돈/선물 | 5~10% | 125,000원~250,000원 | 감동을 남기는 순간 |
자기계발 | 10% | 250,000원 | 자격증, 강의, 도서 |
소비 (고정·변동) | 40~50% | 1,000,000원~1,250,000원 | 식비, 교통, 생활비 등 |
📌 비율은 상황에 따라 조정하되, 무조건 저축 먼저 떼고 소비하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.
첫 월급으로 꼭 해볼 5가지 추천 소비
1️⃣ 부모님께 선물 or 용돈
- ✅ 금액보다 진심이 중요합니다.
- 🎁 예시: 외식, 마사지권, 건강식품, 현금봉투
2️⃣ 적금·청약 통장 개설 및 자동이체 설정
- 매월 고정금액 자동이체는 저축 습관 형성에 가장 효과적
- 추천 상품: 청년형 주택청약, CMA 통장, 자유적금
3️⃣ 비상금 계좌 개설 (최소 3개월치 생활비)
- 예기치 못한 상황 대비를 위한 필수 자산
- 💡 CMA or 온라인은행 통장으로 분리하여 출금 어렵게 설정
4️⃣ 자기계발을 위한 투자
- 업무 스킬 강화: 엑셀, PPT, 커뮤니케이션, 코딩 등
- 영어, 자격증, 책 구매 등도 포함
- 👉 첫 월급의 일부는 ‘경력자본’에 쓰는 것이 현명
5️⃣ 사회 초년생 보험 점검
- 실손보험, 상해보험, 청년 전용 보험 상품 고려
- 부모님이 가입해준 보험 확인 → 중복 여부 확인
소비 습관 바로잡는 TIP
잘못된 습관 바꿔야 할 습관
‘남은 돈’ 저축 | 👉 ‘먼저 저축, 나머지로 소비’ |
카드값 할부 결제 | 👉 체크카드 or 일시불 소비 |
계획 없는 지출 | 👉 소비 항목별 예산 미리 설정 |
지출 내역 기록 안 함 | 👉 가계부 앱(토스, 뱅크샐러드 등) 활용 |
월급 루틴으로 돈이 ‘흘러가게’ 만들어라
자동화된 월급 루틴 예시 (매월 25일 월급 수령 기준)
날짜 활동
25일 | 수입통장 입금 |
26일 | 자동이체: 저축, 투자, 소비통장 분배 |
27일 | 고정비 자동이체 (월세, 통신비 등) |
말일 | 소비 내역 점검, 예산 피드백 |
📌 루틴화 = 습관화 = 자산 성장
첫 월급으로 절대 하면 안 되는 5가지
- ❌ 신용카드로 무리한 할부
- ❌ 고가의 명품 충동구매
- ❌ 지인 권유로 시작한 고위험 투자
- ❌ 자동차나 가전제품의 과도한 리스
- ❌ 대출 연장 없는 소비성 대출
마무리: 첫 월급은 ‘축제’이자 ‘시작점’
첫 월급은 단순히 통장에 찍히는 숫자가 아닙니다.
그건 당신이 스스로의 삶을 책임질 수 있다는 첫 신호이며,
그 돈을 어떻게 다루느냐가 앞으로의 1년, 10년을 바꿉니다.
✔️ 오늘 이 글을 기준으로 계획표를 짜고
✔️ 자동이체와 예산을 설정하고
✔️ 소비를 기록하며, 미래를 준비하세요.
반응형